공장에서 물건을 생산한다고 하면 그 생산량을 결정하는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다. 투입인원수, 투입된 인원의 숙력도, 기계의 생산속도, 원자재의 양 등이다. 이런 요소들은 다시 고정투입요소와 가변투입요소로 나눌 수 있다. 이 고정과 가변을 나누는데는 기간을 얼마를 잡느냐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원자재를 주문을 하면 도착하는데 일주일이 걸린다면 원자재는 일주일동안은 고정투입요소에 해당하지만 한달의 기간을 생각하면 가변투자요소라고도 할 수 있다. 생산함수는 이런 요소들을과 생산량의 관계를 정의 한다.
Q= f(L, , A, B.........) //L은 투입인원수, A는 숙련도, B는 기계의 속도 등이다.
생산함수에서 몇 가지 요소가 동시에 변화할 때 생산량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로 보통 다른 요소들은 고정시켜놓고 하나의 요소만 변할 때의 생산량을 구하며 이를 나타낸 그래프를 총생산곡선이라고 부른다.
그러면 이 총생산곡선의 기울기는 한계생산을 나타내게 되는데 한계생산이란 그 지점에서 요소를 한단위 증가시켰을 때 증가하는 생산량을 의미하게 된다. 노동의 한계생산이란 일꾼을 1명 추가할 경우 추가생산할 수 있는 물량을 뜻하고 기울기가 다르다면 일꾼이 10명이 있을 때 1명을 추가하는 것과 100명이 있을 때 1명이 추가됬을 때 증가하는 생산량이 다르다는 말이다. 각 점의 한계생산을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 한계생산곡선이며 이 곡선을 이용하면 그 시점에서 노동력 한단위의 추가가 가져오는 추가 생산량을 알 수 있다. 보통 한계생산곡선을 우하향하는 형태를 띄는데 즉 한계생산이 점점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를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평균생산곡선이 있는데 이는 생산량을 일꾼의 수로 나눈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평균생산곡선을 이용하면 어느지점까지 일꾼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동자의 수와 생산량의 관계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1, 10), (2, 24), (3, 36), (4, 40) 각각의 1인당 평균생산량은 10, 12, 12, 10이다. 오히려 4명이 되면 1인당 생산량이 저하되는 것이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비용함수, 단기평균비용, 단기한계비용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25 |
---|---|
경제학에서의 비용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16.01.24 |
등량곡선, 한계대체율, 대체탄력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23 |
조건부 상품과 등기대치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21 |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19 |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그리고 보상수요곡선 (0) | 2016.01.18 |
소득소비곡선과 가격소비곡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17 |
효용곡면과 무차별지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기 (0) | 2016.01.16 |
공급과 수요의 균형과 거미집과정 (0) | 2016.01.15 |
수요의 탄력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