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잉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자면 자동차 가격이 500만원으로 정해졌다고 하자. 자동차가격으로 최대 1000만원을 내고서 자동차를 사려는 사람은 자동차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 자동차를 구입해 최대 1000만원의 가치를 획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최대 1000만원을 내고 자동차를 사려고 했는데 실제 자동차 가격이 500만원이라면 500만원이 소비자 잉여로 발생한 것이다. 즉 자신이 자동차를 구입해 획득할 수 있는 가치는 1000만원인데 차 가격이 500만원이므로 이 차액만큼 소비자잉여가 된다. 



소비자의 잉여를 계산할 때는 일반 가격수요곡선이 아닌 보상수요곡선을 사용해야 한다. 보상수요곡선이란 동일한 효용수준에서의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힉스는 동일한 효용이 동일한 실질소득을 가진다는 해석했다. 물건 가격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실질소득은 물건가격의 변화를 반영하므로 더 높은 효용을 얻는 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slutsky는 두 예산선이 축이 아닌 곳에서 교점을 가질 수 있다면 동일한 실질소득을 가진다고 해석한다.) 물건의 가격이 떨어지게 되면 실질소득이 증가하게 되고 소득효과에 따른 효용수준의 증가를 가져온다. 생산자잉여는 소비자잉여와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생산하는 자동차의 가치로 100만원 이상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생산자가 있는데 시장 가격이 500만원으로 정해졌다면 그 생산자는 400만원의 생산자잉여가 발생한 것이다.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의 가격차이가 바로 생산자 잉여와 소비자 잉여의 합에 해당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