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곡선과 쌍을 이루는 것은 공급곡선으로 공급곡선은 생산자의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그에 따른 생산량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가격, 기술력, 시장수요예측 등이 있다. 이런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지점이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이다.
수요공급곡선은 xy축에 각각 수량과 가격만을 다루는 2차원의 그래프로 일반적으로 가격 변화에 따른 초과공급, 초과수요를 파악하게 되며 그 외의 요인들에 의해 곡선이 변화하는 경우 새롭게 그려진 곡선을 대입해야 한다.
만약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하는 물품이 있고(일반적으로 공산품의 경우 가격의 하락만이 주로 나타난다. 농산물이 수요와 공급에 따른 가격의 상승과 하락이 잘 나타는 물품이다.) 한사람의 소비자와 한사람의 생산자만 있다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바로 맞출 수 있을 것이다. 수많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참여하는 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균형은 바로 정확하게 계산되는 것이 아닌 수요와 공급이 서로에 대응하기 위해 진동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공장생산품의 경우 수요에 따른 공급의 변동은 매우 빠른 편으로 수요가 늘어나면 얼마지나지 않아 공급이 증가해 새로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공산품의 경우 수요초과상태라고 하더라도 소비자가격이 증가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일년의 생산주기를 가지는 농산품의 경우 당장 올해의 수요증가를 공급증가로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는 그래프의 시간축의 단위가 생산주기와 일치함을 의미한다.)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수요의 감소는 적은 경우가 많아 수요가 공급을 초가하는 정도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만약 올해에 감자의 수요가 급증해 감자의 가격이 상승하였다면 농민들은 내년의 감자 생산량을 일정수준 증가시키게 된다. 이런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내년에는 감자가격이 떨어지고 가격이 떨어진 만큼 농민들은 생산량을 감소시킨다. 이런 과정이 수년에 걸쳐 반복되면서 감자의 가격이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결국은 균형가격으로 수렴하는 형태를 보이게 되는데 이를 거미집 과정이라고 한다. 공급과 수요에 따른 가격변화가 활발하고 일정한 생산주기를 가지는 경우 이런 거미집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주식가격이 공급과 균형에 따라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과도 유사하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에서의 비용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16.01.24 |
---|---|
등량곡선, 한계대체율, 대체탄력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23 |
생산함수, 총생산곡선, 한계생산곡선, 평균생산곡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22 |
조건부 상품과 등기대치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21 |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19 |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그리고 보상수요곡선 (0) | 2016.01.18 |
소득소비곡선과 가격소비곡선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17 |
효용곡면과 무차별지도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기 (0) | 2016.01.16 |
수요의 탄력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6.01.13 |
미시경제학의 기본적 내용들 (0) | 2016.01.13 |